언론속의 한마음

[기고] 의과대 유치 0순위 경남, 이번 대선에는 꼭!- 하충식(창원한마음병원 이사장)

작성일 : 2021-10-14 조회 : 3,026


우리나라 의약사에 한 획을 그은 2000년 의약분업을 계기로 의과대 정원이 3300명에서 3051명으로 줄었다. 249명을 감축한 것인데, 의사들 반발을 달래는 땜질 처방이었다. 21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어떤가. 의사양성 부족이라는 심각한 후유증이 이어지고 있다. 진료과목이 다양화하면서 의사 수요는 크게 늘었지만 공급이 따르지 못해 생기는 현상이다. 일부 진료과의 경우 월급 4000만원(세전·퇴직금 포함)을 제시해도 의사 구하기가 어렵다. 의대 정원이 과부족이라는 것을 방증하는 단적인 예다.


정부로선 의대 정원 늘리기가 어렵다면 우선 의약분업으로 날아가버린 249명이라도 즉각 복원해야 한다. 21년 전의 3300명으로 되돌려 놓아도 의예과와 본과, 수련의 과정을 감안하면 15년 후에나 전문의가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증가, 진료과목의 세분화로 의사 수요는 급증할 수밖에 없는 점을 정책 입안자들이 모를 리 없다.


340만 인구의 경남지역 의대 정원은 76명. 전국 최하위다. 100만 특례시인 창원은 도청 소재지 중 유일하게 의대가 없다. 330만 인구의 광주·전남 의대정원은 251명, 180만인 전북이 235명이다. 경남의 3배가 넘는 이 현실을 경남도민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인구 153만의 강원도는 의대가 4곳이고, 인구 350만의 대전·충남은 5개나 된다. 그렇지만 인구 340만의 경남은 겨우 1개 의대만 있다. 이는 명백한 ‘경남 역차별’이다. 당연히 경남도민과 창원시민 자존감은 말이 아니다. 자존감을 떠나 진료서비스의 질 향상이 최대 숙원이 된 지 오래다. ‘창원 의대신설 0순위’가 내년 대선 공약에 반영되도록 각 정당, 지역 정치인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중요한 포인트는 또 있다. 지방의대 공약이 꺼려지는 이유는 국가재정 수천 억원이 소요되기 때문일 것이다. 길병원, 차병원, 백병원, 을지병원, 한강성심병원, 건양대병원, 순천향병원 등 전국 7대 사립 의대는 모두 출발점이 소규모 민간병원이었다. 의과대학이 지역민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하고 임상 교육·연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지속 투자가 필요한데 민간병원은 상대적으로 제약이 적어 시설·인력 투자가 원활하다는 장점이 있다. 국·공립대학은 국비와 지방비 확보 문제로 단기간에 질 높은 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기가 어렵다. 1991년 250병상으로 시작한 충북대병원은 655병상이 되기까지 29년이 걸렸다. 강원대병원은 200병상 춘천의료원을 인수해 680병상이 되기까지 17년이 소요됐다. 제주대병원도 200병상을 인수해 646병상에 이르기까지 19년을 소비했다.


창원한마음병원은 1000병상 이상의 수련 병동과 최첨단 의료장비 등을 구축해 놓고 있다. 대학병원 인가만 난다면 신속하게 수준 높은 개원으로 직행할 수 있다. 나라 예산에 기대지 않고 대학병원을 만들어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도 강하다. 기초임상과 교육수련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초현대식 부속병원까지 확보하고 있어 장점이 많다. 국·공립대에는 경남에 아직 없는 치대와 약대, 한의대를 배정할 수도 있고 민관협력의 좋은 사례로 지역국립대학과 창원한마음병원이 함께 의대를 창원에 유치할 수도 있다. 그리하면 국가예산의 효율적 집행도 기할 수 있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정치권이 ‘국고 부담 없는 국민의료복지 향상’의 절묘한 선택지 앞에서 지혜로운 판단을 해주면 좋겠다.